1-2-1 이 먼 동방의 제국은 일찍이 여러 이름으로 유럽인들에게 알려졌습니다. 1-2-2 가장 오래된 명칭은 “시나(Sina)” 1로 프톨레미(Ptolemy) 시대에 이미 사람들에게 알려진 이름입니다. 1-2-3 후에 유럽인들에게 중국을 가장 먼저 익숙하게 해 주었던 베니스 사람 마르코 폴로(Marco Polo)는 이 나라를 “케세이(Cathay)” 2라고 불렀습니다. 1-2-4 그러나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차이나(China)”라는 이름은 포르투갈 사람들에게 기인했는데, 그들은 대규모 해상 탐험을 통해 중국에 도착하여 현재까지 중국 동남부에 위치한 광동성(廣東省, Canton)에서 무역을 하고 있습니다. 1-2-5 그런데 차이나(China)라는 명칭은 이태리와 몇몇 유럽 국가의 사람들이 라틴어와 조금 다른 스페인어의 발음에 익숙하지 않아 약간 수정된 것입니다. 본래 “China”에 대한 스페인 사람들의 발음은 이태리 사람들이 읽는 “Cina”의 발음과 똑같았기 때문입니다.
1-2-6 저의 생각에 따르면 중국은 유럽에 ‘히포파지(Hippophagi)’, 즉 말을 먹는 사람들의 나라라고 불렸던 것이 분명합니다. 왜냐하면 오늘날까지도 이 광대한 영토를 지닌 제국의 사람들은 마치 우리들이 쇠고기를 먹는 것처럼 말고기를 먹기 때문입니다. 1-2-7 또 중국은 ‘비단의 나라(Serica regio)’라고 불렸던 것도 확실합니다. 1-2-8 왜냐하면 극동(Far East) 지역에서 중국을 제외하고는 이처럼 비단이 풍부하게 생산되는 나라가 없고, 그래서 이곳에서는 부자만이 아니라 가난한 자들도 모두 비단 옷을 입을 뿐 아니라 대량의 비단을 아주 먼 지역에까지 수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1-2-9 포르투갈 사람들이 배에 가장 즐겨 싣는 상품이 바로 비단으로, 그들은 이것을 싣고 이미 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인도와 일본으로 갑니다. 1-2-10 필리핀 군도에 있던 스페인 사람들 역시 뉴 스페인(New Spain, 新西班牙) 지역과 세계의 여러 곳에 팔기 위해 자신들의 상선을 중국 비단으로 가득 채웁니다. 31-2-11 나는 중화제국의 편년사(the annals of Chinese Empire, <<竹書紀年>>?> - 중국 고대 초에서 하(夏) ·은(殷) ·주(周)를 거쳐 위(魏)의 양왕(襄王:재위 BC 334∼BC 319) 때까지를 편년체로 엮은 역사서. 279년 허난성[河南省] 지셴[汲縣] 위의 양왕릉에서 <<목천자전(穆天子傳)>>, <<주어(周語)>> 등과 더불어 출토되었다. ">)를 통해 일찍이 기원전 2636년에 이미 비단을 짜는 기술을 중국이 보유하고 있었음을 발견했는데, 아마 이러한 직조 기술이 중국에서 아시아의 다른 지역과 유럽, 심지어 아프리카까지 전달된 것 같습니다. 4
1-2-12 중국인들은 다른 나라 사람들이 이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자신들을 불렀다는 사실을 몰랐음에 틀림없으며 심지어 유럽인들의 존재에 대해서도 완전히 무지했는데, 이는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1-2-13 그들은 이런 명칭들이 어떤 이유에서 붙여지고 또 이처럼 다양한 이름들이 왜 등장했는지 전혀 모릅니다. 1-2-14 그러나 중국인은 스스로 자신들의 왕조 명칭을 과거부터 다양하게 불러왔고 앞으로도 다른 명칭을 부여할 것입니다. 1-2-15 이것은 먼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중국인들의 관습으로, 왕조의 통치권이 한 가문에서 다른 가문으로 넘어갈 때마다 새로운 왕조에게 반드시 새로운 이름이 부여되었습니다. 새로운 통치자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알맞은 이름을 부여한 것입니다. 1-2-16 예컨대 한 때 당(唐)이라고 불리는 나라가 있었는데, 이는 광활하다는 의미입니다. 우(虞)라고 불리던 나라는 고요하다는 의미입니다. 5 1-2-17 또 하(夏)라는 나라도 있는데 이것은 위대하다는 의미입니다. 1-2-18 그 후에 상(商)이라고 불리는 나라가 등장하는데, 웅장하다(splendid)는 의미입니다. 1-2-19 그 뒤를 이은 주(周)는 완벽하다(perfect)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1-2-20 한(漢)의 뜻은 은하수인데, 이외에도 각 시기에 많은 다른 칭호가 있었습니다. 1-2-21 현재의 왕조는 주씨(朱氏) 가문이 권력을 장악하여 흥기했는데, 밝다(brightness)는 뜻의 명(明)이라고 칭합니다. 현재 명이라는 이름 앞에 크다는 대(大) 자를 붙여 대명(大明)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큰 밝음(great brilliance)이라는 의미입니다. 1-2-22 중국과 국경을 맞댄 나라에서는 중국을 하나의 명칭으로 부르거나 또 다른 지역에서는 다른 명칭으로 부르기 때문에 이처럼 다양한 중국의 왕조명을 아는 경우가 아주 드믑니다. 1-2-23 예컨대 교지인(交趾人, people of Cochin)과 태국인(Siamese)은 중국을 친(Cin, 秦)이라고 부르는데, 그들을 통해 포르투갈인들이 중국을 차이나(China)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1-2-24 일본인은 중국을 당(唐)이라고 부르며, 타타르인들은 한(漢)이라고 부르고, 타타르인보다 훨씬 더 서쪽에서 사는 사라센인(the Saracens, 중앙아시아의 무슬림) 6들은 중국을 케세이(Cathay)라 불렀습니다. 1-2-25 <프톨레미 7의 방식에 따라 라틴 작가들이 늘 중국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에게는 새로운 왕조가 들어서면 붙이는 왕조명 외에 여러 시대에 걸쳐 계속 사용하는 칭호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이름이 이 칭호와 병용되기도 합니다.> 1-2-26 오늘날 우리들이 일반적으로 부루는 칭호는 중국(中國)이나 중화(中華)인데, 전자는 왕국을 의미하고 후자는 화원(花園)을 의미합니다. 두 칭호를 합쳐서 번역하면, “중앙에 위치한다”는 뜻이 됩니다. 1-2-27 이러한 칭호가 생겨난 것은 하늘이 둥글고 땅이 평평하다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생각을 가진 중국인들이 자신의 나라가 그 땅의 가운데에 위치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들었습니다. 1-2-28 이런 생각 때문에 중국인들은 우리의 세계지도를 처음 보았을 때 중국이 지도의 중앙이 아니라 동쪽 변방에 위치한 것을 보고 상당히 어리둥절했습니다. 1-2-29 마테오 리치 신부 8가 중국인들을 위해 한문으로 지명을 그려 넣은 세계지도 한 부를 만들 때, 그들의 관점을 존중하여 중화제국이 지도의 가운데에 오도록 배치해주었습니다. 1-2-30 물론 지금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이전의 착오(former error)를 인정하고, 우스운 옛 이야기 정도로 간주하고 넘어갑니다.
1-2-31 이 방대한 나라에 편만한 권위를 지닌 사람을 천주(天主 9, Lord of Universe)라고 부르는데, 중국인들은 그들의 넓은 영토적 범위가 실제 우주의 끝자락과 연결되어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1-2-32 중국인들은 유럽이 방문하기 이전에 알고 있던 주변국에 대해서는 크게 고려할 필요가 없다고 평가했습니다. 1-2-33 만약 이렇게 설정된 가상의 관할권(assumed jurisdiction)이 황당하게 여겨지신다면, 입장을 바꾸어 유럽의 여러 통치자들이 중국이라는 광대한 영토에 대한 일말의 관할권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스스로에게 같은 칭호, 즉 천주(Lord of Universe)를 부여했다는 사실을 들은 중국인들도 분명 같은 방식으로 황당해할 것을 생각해보십시오. 1-2-34 [중국이라고 알려진 이 나라의 국호에 관해서는 이 정도까지만 언급하겠습니다.]
1-2-35 중국의 규모를 상기할 때 [여러 시대에 걸쳐 중국의 왕조명 앞에 대(大)라는 접두사를 붙이는 관습은 일리가 있습니다.] 1-2-36 길게 뻗은 중국의 영토와 지경은 현재 세계 그 어떤 나라보다 광대하며, 제가 아는 한 과거의 어떤 왕조보다도 거대합니다. 1-2-37 중국 남부는 북위 19도선이 경계이며, 최남단에는 남쪽 바다라는 뜻을 가진 해남도(海南島)가 있습니다. 1-2-38 여기서 북위 42도선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북부의 장성(長成)에 도달하는데, 중국인은 장성을 축조하여 타타르(韃靼)인들과 경계를 나누고 그들의 침입을 방어하였습니다. 1-2-39 중국의 서쪽으로 가면 복도(福島, Fortunate Islands)로부터 동경112도 10 11에 위치한 운남(雲南)이라 불리는 지역에 도달하며, 동쪽으로 가면 해가 뜨는 바다와 동경 132도에서 만납니다. 1-2-40 제국의 변경 지역을 여행하게 되었을 때 우리는 직접 천문학자들이 사용하는 아스트롤라베(Astrolabe) 12 등 여러 의기(儀器)를 사용하여 위치를 확인하였습니다. 1-2-41 또한 우리는 공문서인 당안(檔案)에서 달이 차고 기우는 정확한 기록으로 가득한 월식 자료를 검토했고, 무엇보다 천체 지도를 연구하여 우리의 관측을 검증하였습니다. 1-2-42 중국의 남에서부터 북에 이르는 길이에 대해서는, 나의 동료들이 그 양쪽 끝에서 부지런히 수고하여 측정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교정은 없어도 될 듯 싶습니다. 1-2-43 하지만 동과 서의 너비에 대해서는 그다지 자신할 수 없습니다. 1-2-44 만약 주님의 은총으로 향후 동료들이 복음의 빛을 들고 서쪽 지방으로 더 들어간다면 중국의 동서 길이에 대한 더 정확한 측량을 하게 될 것입니다만, 그 수치가 내가 인정한 현재의 수치와 다르더라도 그 차이는 아주 미미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1-2-45 물론 저는 최근의 관측일수록 더 정확하리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수치에 대한 그들의 권위를 흔쾌히 인정할 것입니다.
1-2-46 위의 서술을 통해 이 대제국의 광활한 영토 대부분이 온대 지역에 위치하여 온화한 기후를 누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1-2-47 하지만 전체적으로 중국에서도, 마치 우리들이 남쪽의 메로이(Meroe) 섬 13에서 북쪽의 로마에 도달하는 과정처럼, 다양한 기후 분포를 경험하게 됩니다. 1-2-48 중국의 영토가 정말 광활하기는 하지만, 우리 유럽인 작가들이 관행적으로 북쪽 변경을 북위 53도보다 약간 높게 상정하고 있으므로, 실제 남북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거리보다 거의 삼분의 일 정도가 짧습니다. 1-2-49 현재 이 광활한 영토의 대부분이 경작되지 않은 황량한 땅으로 남아 있을 것으로 사람들이 잘못 생각할지 몰라, 제가 직접 본 1579년(만력 7년)도에 제작된 <광여도(廣輿圖)>를 연구하고 그 잘못된 바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지도 제작에 힘써, 마침내 1541년(嘉靖20年)을 전후하여 <광여도> 2권을 완성하였다. '>를 연구하고 그 잘못된 바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지도 제작에 힘써, 마침내 1541년(嘉靖20年)을 전후하여 <광여도> 2권을 완성하였다. (헌) ">를 연구하고 그 잘못된 바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지도 제작에 힘써, 마침내 1541년(嘉靖20年)을 전후하여 <광여도> 2권을 완성하였다. '> 명대에 출현한 지도집으로, 그 영향력이 막대하였다. 지도를 편찬한 자는 羅洪先(1504一1564)으로 강서성 吉水人이다. 字는 達天,號 念庵로, 1529년(嘉靖8) 進士에 1등으로 합격하여 修撰의 직을 받았다. 황제에게 상소한 내용을 죄를 얻어 관직을 박탈당한 이후 다시 입사하지 않았다. 파직된 후 원나라 사람 朱思本의 <輿地圖>를 연구하고 그 잘못된 바를 바로잡기 위해 새로운 지도 제작에 힘써, 마침내 1541년(嘉靖20年)을 전후하여 <광여도> 2권을 완성하였다. 中譯者注 - 데일라는 이것이 원나라 朱思本의 <輿地圖>라고 생각하였는데, 이 책은 1579년 重刻되었다. "> 14라는 책의 기록을 제시하려 합니다. 1-2-50 일부 내용을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1-2-51“중화제국은 두 개의 직예성(直隸省)이 있는데, 남쪽 왕국인 남경(南京)과 북쪽 왕국인 북경(北京)이다. 15 1-2-52 이 외에 13개의 성(省)이 더 있다. 16 15개의 성은(모두 왕국으로 칭해질 만합니다./ 마테오 리치의 삽입구) 158개의 구역이나 작은 지역으로 나뉜다.” 1-2-52 중국인은 이 구역을 부(府)라고 부르는데, 대개의 부는 12∼15개의 대도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더 작은 시진(市鎭)과 성채(城寨, fortresses), 농장(farms) 등이 포함됩니다. 1-2-53 “이런 지역 가운데 247개의 대도시를 주(州)로 지정하는데, 주는 그 규모가 아니라 위계와 중요성에 따라 구별된 것이다. 그리고 현(縣)이라고 불리는 일반적인 도시가 1152개 더 있다.” 1-2-54 앞서 언급한 지도집이 간행될 무렵 국가에 세금을 납부하는 성인인구가 58,550,801명입니다. 1-2-55 이 숫자에는 여성과 세금을 면제받은 남자, 예를 들어 병사, 환관, 황족(皇族), 지방관, 지식인 17과 기타 많은 사람들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1-2-56 타타르인의 침입을 제외하면 이미 상당한 기간 평화를 누리긴 했지만, 명조(明朝)는 여전히 백만 명 이상의 군대를 유지하고 있다. 1-2-57 북방 지역의 3개 지역 가운데 하나인 요동(遼東) 인구의 거의 절반이 늘 황제를 위해 군역(軍役)에 종사하는 것만 보아도, 군대에 대한 수치는 과장된 것이 아닐 것입니다. 1-2-58 앞에서 인용한 <광여도>의 편찬자는 동쪽의 3개 나라, 서쪽의 53개 이상의 나라, 남쪽의 55개 이상의 나라, 북쪽의 3개 나라에서 모두 중국에 조공한다고 열거하였습니다. 1-2-59 그런데 오늘날 이들 중 소수의 몇 나라만이 규정에 따라 조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2-60 그러한 나라는 자신들의 조공 의무를 완수하기 위해 중국에 사신을 파견하지만, 그들이 진공(進貢)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돈 18을 중국으로부터 가지고 가기 때문에, 중국 조정은 납공(納貢) 여부에 관해서 크게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1-2-61 다시 중국의 광활한 영토와 명성에 관한 이야기로 돌아오면, 중국이 자연적인 환경이 좋을 뿐 아니라 인위적인 기술(science)도 좋아 모든 방향에서 방어가 아주 잘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언급해야 합니다. 1-2-62 남쪽과 동쪽은 바다에 접해 있는데, [해안을 따라 별처럼 많은 섬들이 산재하여 적들의 배가 대륙에 접근하기가 어렵습니다.] 1-2-63 북쪽의 험준산령은 405마일이나 끊이지 않는 거대한 난공불락의 장성과 연결되어 적대적인 타타르인의 침입을 막아줍니다. 1-2-64 서북쪽에는 며칠을 걸어도 끝나지 않는 광활한 사막의 보호막을 형성하여, 적군이 진공해오는 것을 저지하거나 국경을 침범하는 사람들의 무덤이 되기도 합니다. 1-2-65 서쪽의 산맥을 넘어가면 중국인들이 거의 신경을 쓰지 않는 가난한 나라들이 있는데, 그들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두려움도 없고 합병해야 할 필요도 느끼지 않습니다.
- "支那의 [본문으로]
- 거란으로 원래는 중국 북부를 가리키며 후에 유럽인들에 의해 중국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中譯者注. (준) 거란은 어떤 민족인가? [본문으로]
- 지금의 멕시코를 말한다.-中譯者注. [본문으로]
- "(헌) [본문으로]
- (헌) 중국 고대의 임금인 도당씨(陶唐氏) 요(堯)와 유우씨(有虞氏) 순(舜)이 다스리던 시대를 일컫는데, 중국 역사에서 이상적인 태평 시대로 꼽힌다. 요는 제곡 고신의 아들로 이름은 방훈(放勳)이고 당요(唐堯) 또는 제요도당(帝堯陶唐)으로도 부른다. 이는 요가 당(唐) 지방을 다스렸기 때문에 붙은 칭호이다. [본문으로]
- (헌) 타타르인(韃靼人)이란 북방의 유목민족을 통치하는 것으로, 명대에는 주로 몽골족을 지칭한다. [본문으로]
- 클라우디우스 프톨레미(Claudius Ptolemy), 2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지리학자, 천문학자 수학자이다. -英譯者注. [본문으로]
- 여기 제2권에서 5권까지 전체가 그런 것처럼 진술(강술)하는 트리고는 제5권 말미에 자신의 서명을 한것처럼 원고에 마태오(P. Matteo) 신부, 베드로(il Padre) 신부 혹은 약간 부정확한 형식의 곳에는 모두 마테오 리치의 이름을 서명하였다. - 英譯者注? [본문으로]
- (헌) 天子를 지칭하는 듯. [본문으로]
- 복도(福島, Fortunate Islands)는 아프리카 서북해안 밖 대서양의 카나리아 군도(Canarias Islands)로 고대유럽인들이 경도 측정의 기점으로 삼아서 카나리아 군도를 통과하는 자오선이 0도가 되었다. [본문으로]
- 1615년판에서 트리고는 분명하게 Centesimo secundo(102도)를 Centesimo duodecimo(112도)라고 써넣고 있다. 운남은 동경98도에서 104도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英譯者注. 운남성은 지금의 그리니치 동경 98도에서 104도 사이에 위치하는 것에 따르면 복도 동경112도에서 시작된다. 원래의 책이 틀리지 않았고 영역자주가 복도의 동경도를 그리니치의 동경도로 오해하였다.- 中譯者注 [본문으로]
- (헌) 별의 위치, 시각, 경위도 등을 관측하기 위한 천문기계이다. 수은반에 의하여 반사시킨 별빛과 천체로부터의 직접광을 60°의 프리즘을 통하여 망원경에 받아들여 양쪽 별의 상을 합치시키는 원리이다. 이 기계의 오랜 형은 고대 그리스시대에 만들어져서 이슬람 지역으로 전해졌는데 눈금을 매긴 금속고리와 조준기가 달린 지방규(指方規:방위를 가리키는 자)로 되어 있었다. 금세기에 들어와 개량된 것은 수은반(水銀盤)에 의하여 반사시킨 별빛과 천체로부터의 직접광을 60 °의 프리즘을 통하여 망원경에 받아들여 양쪽 별의 상(像)을 합치시키는 원리로 되어 있어 관측의 정밀도가 대단히 높다. 취급이 간편하고 정밀관측을 필요로 하는 목적을 위하여 특히 정밀하게 만들어진 것도 있다. [본문으로]
- 매로이 섬은 나일 강의 고왕국으로 지금의 수단 경내 청나일 강과 아트바라(Atbara) 강 사이에 있다. [본문으로]
- '"명대에 [본문으로]
- 南直隷와 北直隷를 말한다.-中譯者注 [본문으로]
- (헌) 山西省, 陝西省, 山東省, 河南省, 湖廣省, 江西省, 廣東省, 廣西省, 浙江省, 福建省, 四川省, 貴州省, 雲南省의 13개 성. 북경(北直隸)과 남경(南直隸)를 합쳐 명대의 행정구역은 총 15개 성으로 구성되었다. [본문으로]
- (헌) 優免의 특권을 지닌 生員을 비롯하여 監生, 擧人, 進士 등 명대 紳士層을 지식인으로 표현하였다. [본문으로]
- (헌) 중국 황실로부터 받은 다양한 종류의 비단, 의복, 동전 등의 賜與品을 지칭한다. [본문으로]